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순서
2025년 6월 3일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일입니다. 역대 대통령들을 재임 순서대로 정리해 보고, 대통령 선거제도의 변천사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승만 (1948~1960) :1~3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제헌헌법에 따라 국회 간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윤보선 (1960~1962) : 4대
4·19 혁명 이후 간선제로 선출된 제4대 대통령입니다. - 박정희 (1963~1979) : 5~9대
5·16 군사정변 이후 집권하여, 유신헌법을 통해 장기 집권하였습니다. - 최규하 (1979~1980) :10대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되었습니다. - 전두환 (1980~1988):11~12대
12·12 군사반란 이후 대통령에 취임하였으며,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었습니다. - 노태우 (1988~1993) :13대
1987년 개헌 이후 첫 직선제로 선출된 대통령입니다. - 김영삼 (1993~1998) :14대
문민정부의 시작을 알린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김대중 (1998~2003) :15대
평화적 정권 교체를 이룬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노무현 (2003~2008) : 16대
참여정부를 이끈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이명박 (2008~2013) :17대
경제 중심의 정책을 펼친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박근혜 (2013~2017) :18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으나 탄핵으로 임기를 마치지 못했습니다. - 문재인 (2017~2022) :19대
촛불 혁명 이후 선출된 대통령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윤석열 (2022~2025) :20대
검찰총장 출신으로, 직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선거 제도의 변화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제도는 정치적 변화에 따라 간선제와 직선제를 오가며 발전해 왔습니다.
- 1948년 제헌헌법: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간선제를 채택하였습니다.
- 1952년 헌법 개정: 이승만 대통령의 주도로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선출하는 직선제로 변경되었습니다.
- 1972년 유신헌법: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간선제로 회귀하였습니다.
- 1980년 헌법 개정: 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한 간선제를 유지하였습니다.
-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헌: 국민의 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는 직선제가 다시 도입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한민국은 정치적 격동기를 거치며 선거 제도를 변화시켜 왔으며, 현재는 국민의 직접 투표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는 직선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민주주의의 발전과 국민 주권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었습니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들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분은 아래 대통령기록관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